실험음성학 6주차 - Narrowband and source-filter theory
[이론]
★ Broadband and Narrowband
- Broadband: spectrogram의 대역폭을 넓게 잡는 것
- frequency가 broad하고, time이 narrow하다.
- Praat의 spectrogram은 broadband가 디폴트로 세팅되어 있다. (0.005s)
- Narrowband: spectrogram의 대역폭을 좁게 잡는 것
- frequency가 narrow하고, time은 broad하다.
- 장점: frequency information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다.
- 단점: time information을 정확히 관측하기 어렵고 따라서 duration을 파악하기 어렵다.
→ time과 frequency는 상보적인 관계이다.
★ Pre-emphasis
고주파수는 amplitude가 낮고 energy의 유/무를 알기 어렵다.
따라서 pre-emphasis를 통해 고주파수의 amplitude를 높여주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.
★ Source-filter theory of speech production
(= Acoustic theory of speech production)
- Source: Vocal folds를 통해 나오는 것
- Filter: 어떤 shape를 취하냐에 따라 소리의 종류가 달라진다. 특정한 주파수의 에너지를 gaining, boosting한다.
(passband, stopband filter처럼 특정 frequency를 통과시키거나 막지 않는다.)
★ Spectrogram - striation
좁은 것: 성대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가 빠른 것
넓은 것: 성대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가 느린 것
검정색 부분: 성대가 열린 것
흰색 부분: 성대가 닫힌 것
→ time information 알기 쉬워진다. Broadband spectrogram
★ Spectrogram - Spectrogram settings - Window length(s)
- WIndow는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뜻한다.
- 0.005s(5ms)가 디폴트로 세팅되어 있다. (broadband)
- 시간축을 넓게 잡으려면 (narrowband)
Window length(s)를 25~40ms 정도로 설정해볼 수 있다.
이렇게 하면 5ms보다 넓어졌기 때문에 frequency가 상대적으로 좁아진다.
[Lab]
★ Dampskunk experiment
1. d æ m p s kʰ ʌ ŋ k
→ *s d æ m p kʰ ʌ ŋ k
하지만 재생해보면 s d æ m p kʰ ʌ ŋ k 라고 들리지 않고
→ s t æ m p g ʌ ŋ k
위와 같이 [d]가 [t]로 , [kʰ]가 [g]로 대체된 소리로 들린다.
1) [sd], [sg], [sb]는 영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소리이기 때문이다.
2. s t æ m p g ʌ ŋ k
[p]와 [k]의 위치를 옮긴다.
선택된 [p] 구간을 잘라내 [ŋ] 뒤로 위치를 옮긴다.
선택된 [k] 구간을 잘라내 [m] 뒤로 위치를 옮긴다.
→ *s t æ m k g ʌ ŋ p
하지만 재생해보면 s t æ m k g ʌ ŋ p 가 아닌
→ s t æ ŋ k g ʌ m p
위와 같이 [m]이 [ŋ]로, [ŋ]이 [m]로, 대체된 소리가 들린다.
[k], [p]가 release되어 noise의 세기가 앞의 nasal sound [m], [ŋ]보다 커서
[k], [p]가 [m], [ŋ]의 place information을 결정할 힘을 가지게(빼앗게)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.
[mp]: bilabial sound
[ŋk]: velar sound
영어에서 [mk], [ŋp]와 같은 소리는 존재하지 않는다.
★ Praat script 사용하기
사용하는 이유: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고, 수정이 용이해 실수를 줄여주기 때문이다.
상단 메뉴바에서 Praat - Open Praat Script 를 통해 열어볼 수 있다.
새로운 Script를 짜고 싶다면 New Praat Script 를 통해 하면 된다.
Run 버튼을 클릭하면 짜여진 코드대로 실행된다.









댓글
댓글 쓰기